연맹소개
2000~
2020년 05월 26일
제22대 위원장에 황인석 동지 선출
2020년 02월 13일
고진곤 연맹위원장 직무대행 체제(-5/26)
2020년 01월 21일
김동명 위원장, 노총 제27대 위원장 피선(2020.1-2023.1)
2019년 10월 17일
제36회 연맹체육대회 개최
2019년 04월 25일
창립 60주년
2018년 07월 24일
주간화학노련 700호 발간
2017년 05월 23일
일본 제지노련(JPW)과 교류협정 수정체결
2015년 03월 26일
주간화학노련 600호 발간
2014년 04월 25일
창립 55주년
2013년 11월 01일
일본 섬유화학식품유통서비스일반노조동맹(UA ZENSEN)과 교류협정 수정체결
2012년 06월 19일
국제화학노련(ICEM)과 국제금속노련(IMF), 국제섬유노련(ITGLWF) 통합, 국제제조노련(industriALL) 발족
2011년 04월 28일
김동명 위원장(19대-21대, 2011.4-2020.5)
2011년 01월 25일
한광호 위원장, 노총 사무총장 피선(2011.2-2014.2)
2010년 11월 09일
주간화학노련 500호 발간
2009년 08월 22일
연맹 홈페이지 개편
2009년 04월 24일
창립 50주년 기념행사
2008년 04월 17일
한광호 위원장 (18대, 2008.4-2011.4)
2008년 02월 11일
이시형 연맹위원장 직무대행 체제(-4/17)
2007년 12월 14일
임시전국대의원대회(노총파견 선거인단 선출위한 우편투표)
2007년 12월 01일
노용태 연맹위원장 직무대행 체제(-2008/2/11)
2007년 06월 26일
주간화학노련 400호 발간
2007년 06월 11일
연맹발전 특별위원회 구성
2006년 10월 24일
일본 섬유화학식품유통서비스일반노조동맹(UI ZENSEN)과 교류협정 수정체결
2006년 01월 10일
임시전국대의원대회
2005년 07월 25일
연맹 홈페이지 개편
2005년 06월 09일
연맹사무실 여의도 한국노총 신축건물로 이전
2005년 04월 25일
창립 46주년 기념식 및 제17대 위원장 취임식
2005년 02월 01일
박오영 연맹위원장 직무대행 체제(-4/15)
2004년 09월 21일
화학노조 40년사 발간 및 창립45주년 기념식
2004년 07월 01일
1,000인이상 사업장 주40시간제 시행(규모에 따라 순차적시행)
2004년 05월 25일
베트남건설노조(VNUBW)와 교류협정 체결
2004년 04월 21일
주간화학노련 300호 발간
2003년 10월 14일
일본 섬유화학식품유통서비스일반노조동맹(UI ZENSEN)과 교류협정 수정체결
2003년 04월 25일
연맹창립 44주년 기념식
2002년 08월 27일
연맹사무실 당산동으로 이전
2002년 01월 08일
주간화학노련 200호 발간
2001년 01월 16일
한국노총 제조부문 노동조합 연대회의(KMCS) 결성
2000년 09월 05일
일본 고무노련(JRW)과 교류협정 수정체결
2000년 07월 10일
일본 제지노련(JPW)과 교류협정 수정체결
2000년 04월 17일
홈페이지(http://www.fkcu.or.kr) 공식운영
1990~
1999년 10월 25일
대만 화공회(CEWC)와 교류협정 수정체결
1999년 09월 03일
일본 식품노련(Food-Rengo)과 교류협정 체결
1999년 04월 23일
연맹 창립 40주년 기념행사
1998년 12월 01일
550개 조직에 120,000명 가입
1997년 03월 13일
노동관계법 개정
1997년 02월 14일
연맹사무실 여의도 노총회관으로 이전
1997년 01월 15일
제2차 총파업(374개노조,65,000명 참여)
1996년 12월 27일
노동법 날치기에 항의 1차 총파업(213개노조 43,686명 참여)
1996년 09월 01일
일본 화학서비스일반노동조합연합(CSG)과 교류협정 수정체결
1996년 03월 18일
박헌수 위원장(14대-17대, 1996.3-2008.4)
1995년 12월 01일
680개 조직에 156,000명 가입
1995년 11월 01일
국제화학에너지일반노련(ICEF)과 국제광산노련(MIF) 통합, 국제화학에너지광산일반노련(ICEM) 발족
1993년 06월 25일
연맹사무실 신정동으로 이전
1990년 03월 01일
김유곤 위원장(12-13대, 90.3-96.3)
1989년 12월 01일
1,072개 가맹조직, 조합원 214,000명
1980~
1989년 12월 01일
1,072개 가맹조직, 조합원 214,000명
1989년 05월 25일
화학노보 축쇄판 발간
1988년 05월 10일
13개 지방사무소 설치
1988년 05월 01일
고무업종분리(고무산업노련 출범)
1987년 06월 01일
6월항쟁과 노동자대투쟁
1987년 03월 01일
정춘택 위원장(11대, 87.3-90.3)
1986년 12월 30일
화학노조 20년사 발간
1984년 03월 01일
김양호 위원장(10대, 84.3-87.2)
1984년 01월 01일
연맹 지역협의회 설치
1984년 01월 01일
13만 조합원과 220개 가맹조직으로 조직확대
1981년 10월 15일
경인지역 대표자 체육대회(연맹체육대회의 효시)
1981년 02월 01일
기업별 노조 체제로 개편
1980년 12월 01일
노동관계법 개정
1980년 08월 01일
김창윤 위원장(9대, 80.8-84.2)
1970~
1979년 12월
일본 제지펄프 가공산업 노조(JPW)와 교류협정 체결
1978년 07월
대만화공회(CEWC)와 교류협정 체결
1977년 07월
일본 고무노동조합연맹(JRW)과 교류협정 체결
1977년 01월
조합원 10만 돌파
1976년 10월
정동호 연맹위원장, 노총 제7대 위원장 피선
1975년 02월
국제화학에너지노동조합연맹(ICEF) 가입
1973년 07월
정동호 위원장(6대-8대, 73.7-80.8)
1960~
1967년 08월
일본전국화학노동조합동맹(JCF)과 교류협정 체결
1965년 05월
기관지 화학노보 창간
1961년 08월
박영성 위원장(초대-5대, 61.8-73.7)
1961년 08월
근로자의 단체활동에 관한 임시조치법 공포, 전국화학노동조합이 산별체제로 재조직(8월 22일)
1960~
1961년 05월
5.16군사 쿠데타 발발, 모든 노동조합 해산 (국가재건 최고회의 포고령 6호, 노조해체,노동관계법 효력정지)
1960년 11월
대한노총과 전국노조협의회가 결합, 한국노동조합연맹으로 재조직
1950~
1959년 04월
김병균 연맹위원장(초대-2대)
1959년 04월
전국화학노동조합연맹 결성
1950~
1958년 10월
대한노총 11차 전국대의원에서 화학관련 업종 노동조합을 산별노동조합으로 통합하기로 결정
1940~
1949년 11월
국제자유노련(ICFTU) 참여
1948년 08월
대한노총 결성
1946년 07월
화학산업 최초로 고려피혁노동조합 결성
1946년 03월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결성
1945년 11월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全評) 결성
1945년 08월
해방